본문 바로가기
경리세무회계

재무제표의 기본 요소

by insogo 2024. 2. 15.
반응형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는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 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무 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다.

 

▶ 재무상태표의 기본 요소

1. 자산

자산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써 현재 기업 실체에 의해 지배되고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이다.

 1) '경제적 효익'이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업 실체의 미래현금흐름 창출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말한다. 

 2) '자산'은 재화 및 용역의 생산에 이용되거나 다른 자산과의 교환 또는 부채의 상환에 사용되며 소유주에 대한 분배에 이용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물리적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물리적 형태가 자산의 본질적인 특성은 아니다. 

4) 많은 자산이 소유권과 같은 법적 권리와 결부되어 있으나 소유권 등의 법적 권리가 자산 가치 유무를 결정하는 데 최종적 기준은 아니다.

 5) 기업 실체의 자산은 과거의 거래나 사건으로부터 발생한다. 

 6) 일반적으로 현금유출과 자산의 취득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나 양자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2. 부채

부채는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현재 기업 실체가 부담하고 있고 미래에 자원의 유출 또는 사용이 예상되는 의무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부채는 기업 실체가 현재 시점에서 부담하는 경제적 의무이다. 

 2) 미래의 일정 시점에서 자산을 취득한다는 결정이나 단순한 약정은 현재의 의무가 아니다. 

3) 기업 실체가 현재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현금 또는 기타자산의 이전, 용역의 제공, 다른 의무로 대체 또는 자본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미래에 경제적 효익의 희생이 수반된다.

 4) 부채는 과거의 거래나 사건으로부터 발생한다. 

 5) 일반적으로 부채의 액면금액은 확정되어 있지만 제품보증을 위한 충당부채와 같이 그 측정에 추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3. 자본은 기업 실체의 자산 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차감한 잔여액 또는 순자산으로서 기업 실체의 자산에 대한 소유주의 잔여청구권이다. 주식회사의 경우 소유주는 주주이므로, 일반적으로 주주지분은 자본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 손익계산서의 기본 요소

1. 수익

수익이란 기업 실체의 경영활동과 관련된 재화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에 대한 대가로 발생하는 자산의 유입 또는 부채의 감소이다. 

수익은 기업 실체의 경영활동 결과로써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현금유입액을 나타내며, 경영활동의 종류와 당해 수익이 인식되는 방법에 따라 매출액,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및 임대수익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2. 비용

비용이란 기업 실체의 경영활동과 관련된 재화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에 따라 발생하는 자산의 유출이나 사용 또는 부채의 증가이다. 비용은 기업 실체의 주요 경영활동의 결과로써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현금 유출액을 나타내며, 경영활동의 종류와 당해 비용이 인식되는 방법에 따라 매출원가, 급여, 감가상각비, 이자 비용, 임차비용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3. 포괄 이익

포괄 이익은 기업 실체가 일정 기간 소유주와의 자본거래를 제외한 모든 거래나 사건에서 인식한 자본의 변동을 말한다. 즉, 포괄 이익에는 소유주의 투자 및 소유주에 대한 분배 등 자본 거래를 제외한 모든 원천에서 인식된 자본의 변동이 포함된다.

 

▶ 현금흐름표의 기본 요소

1. 영업 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제품의 생산과 판매 활동, 상품과 용역의 구매와 판매 활동 및 무형자산의 취득과 처분 활동 및 미래 영업현금흐름을 창출할 자원의 확보와 처분에 관련된 현금흐름을 말한다.

2. 투자 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부동산, 비유동자산에 속하는 지분증권,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의 취득과 처분 활동 및 미래 영업현금흐름을 창출할 자원의 확보와 처분에 관련된 현금흐름을 말한다.

3. 재무 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현금의 차입과 상환, 신주발행과 배당금의 지급 등과 관련한 현금흐름을 말한다. 

 

▶ 자본변동표의 기본 요소

1. 소유주의 투자

기업 실체에 대한 소유주의 권리를 취득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기업 실체에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자원을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자본이 증가하게 된다.

2. 소유주에 대한 분배

기업 실체가 소유주에게 자산을 이전하거나 용역을 제공하거나 또는 부채를 부담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현금배당, 자기주식의 취득, 감자 등이 이에 속한다. 소유주에 대한 분배가 있게 되면 기업 실체의 순자산은 감소한다. 

 

재무제표 기본 요소의 인식

1. 자산

당해 항목에 내재한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기업 실체에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또한 그 측정 속성에 대한 금액이 신뢰성 있게 측정될 수 있다면 재무상태표에 자산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어떤 거래로 인한 지출이 발생하였을 때 그에 관련된 미래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당해 지출은 자산으로 인식하지 않고 비용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2. 부채

기업 실체가 현재의 의무를 미래에 이행할 때 경제적 효익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면 이러한 의무는 재무상태표에 부채로 인식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미이행계약에 따른 의무는 부채로 인식하지 않는다. 

3. 수익

수익은 경제적 효익이 유입됨으로써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가 감소하고 그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인식한다. 이는 수익의 인식이 자산의 증가나 부채의 감소와 동시에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4. 비용

비용은 경제적 효익이 사용 또는 유출됨으로써 자산이 감소하거나 부채가 증가하고 그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인식한다. 이는 비용의 인식이 자산의 감소나 부채의 증가와 동시에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반응형